밝은아침
가지 않은 길 본문
◈가지 않은 길
노랗게 단풍 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더군요.
몸이 하나니 두 길을 가보는 나그네가 될 수는 없어 나는 서운한 마음으로 한참 서서 덤불 숲 속으로 굽어드는 한쪽 길을 멀리 시선이 닿는데 까지 바라보았습니다.
그러다가 그만큼 멋진 다른 하나의 길을 택했습니다.
아마 더 나을 거라고 생각했지요.
풀이 더 무성하고 밟히지 않았으니까요.
비록 그 길로 가면 그 길 또한 나머지 길과 똑같이 되어 버릴 테지만.
그날 아침 두 길은 모두 아직 아무도 밟지 않은 낙엽에 덮여 있었습니다.
아, 다른 날을 위해 첫 번째 길은 남겨 두었네!
인생 길이 한번 가면 어떤지 알고 있으니 내가 다시 돌아오기 어려우리라 여기면서도.
어디에선가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나는 한숨지으며, 이 이야기를 말하게 되리라.
숲 속에는 두 갈래 길이 있었고, 그래서 나는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고.
그리고 그것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고.
▶ 해설
5행 연구의 abaab의 압운으로 이루어진 '가지 않은 길'은 Frost의 대표시 중 하나로써 길에 대한 선택과 그 선택의 결과에 관한 시이다.
1연에서 화자는 두 길을 다 가보는 나그네가 될 수 없음을 섭섭하게 여기면서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선택시의 상황과 장면을 제시한다.
여기서 '두 길(Two roads)'은 그것이 관례적이든 길인지 아니든지 인간이 어느 한쪽을 선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생이 결정된다는 은유이다.
2연에서는 길을 선택한 이후 그 이유에 대해서 말하는 것으로 선택은 했지만 그 선택이 절대적 정당성이나 올바름을 확신하지 못하는 사람의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화자가 선택한 길은 처음에 내려다보던 길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풀이 무성하고 밟히지 않은 길"이기 때문이다.
처음의 보던 길과 선택한 길에는 차이가 있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여기서의 길은 자신이 가야할 진로를 결정하는 길로 볼 수 있는데 '밟히지 않은 길'이라는 것은 그 길이 어려운 길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고 동시에 아무도 없는 곳으로의 도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3연에서는 선택시 두 길이 같은 조건 아래 있었음을 상기시킨다.
"날 아침 두 길은 모두 아직 아무도 밟지 않은 낙엽에 덮여 있었습니다."에서 자신이 간 길과 가지 않은 길의 차이를 알 수 없음을 확인해 줌과 동시에 어느 길이 더 나은 가를 확신 할 수 없는 화자의 착찹한 심정이 나타난다.
그리고 "아, 다른 날을 위해 첫 번째 길은 남겨 두었네!"라고 말함으로서 선택하지 않은 길(가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과 선택의 일회성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4연에서는 1, 2, 3연이 과거 시제로 쓰여있는데 반해 미래 시제로 쓰여져 선택의 결과를 말해주려고 한다.
즉 화자는 노년이 된 자신을 미래로 상상해 놓고 그런 그로 하여금 과거의 상황을 현재의 관점에서 회상하게끔 하고 있다.
언젠가 한숨을 쉬며 화자는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라고 말한다.
"숲 속에는 두 갈래 길이 있었고, 그래서 나는―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고, 그리고 그것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 선택으로 인해서 그의 모든 것이 달라졌다는 사실이다.
※ FROST 작품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모호성이다.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은 화자가 가지 않은 다른 길일까? 아니면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감으로써 삶을 개척하는 것일까?
모든 것이 바뀌었다는 말에서 시인은 화자가 선택한 길에 대해 부정적이기보다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줌으로서, 자신이 그때 자지 못했던 길에 대해 한숨을 쉬며 말하지만,
그것은 후회의 한숨이 아니라, 그 쪽으로 갔더라면 인생이 다르게 바뀌었을지도 모른다는 일종의 미련이자 아쉬움과 안도의 한숨이 될 수 있고,
반대로 시간이 흐른 후에 화자가 어려운 상황에 있다면 이 길을 택한 후회의 한숨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 생애
Robert Frost(1874-1963)는 미국의 생활과 그곳 대중의 감정에 밀착한 가장 미국적인 시인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여러 대학에서 주재시인으로 대접받고 수많은 대중 강연회를 열었으며, 케네디 대통령 취임식에서 축시를 낭독할 정도로 폭 넓은 지지와 인정을 받은 미국 최고의 시인으로 불리는 Robert Frost는 1874년 3월 26일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뉴잉글랜드 태생이었으며, 어머니는 스코틀랜드 여자로 에든버러에서 이주해 왔다.
10세 때 아버지가 변사하여 뉴잉글랜드로 이주, 오랫동안 버몬트의 농장에서 청경우독(晴耕雨讀)의 생활을 계속하였다.
그 경험을 살려 후에 이 지방의 소박한 농민과 자연을 노래함으로써 현대 미국 시인 중에서 가장 순수한 고전적 시인으로 꼽힌다.
그 후 교사·신문기자로 전전하다가 1912년 영국으로 건너갔는데, 그것이 시인으로서의 새로운 출발이 되었다.
그의 말대로 "초가지붕 아래에"(beneath a thatched roof) 살고 싶어서 그들은 시골의 작은 농장으로 이사했다.
E.토머스, R.브룩 등의 영국시인과 친교를 맺을 기회를 얻었으며, 그들의 추천으로 처녀시집 《소년의 의지 A Boy’s Will》(1913)가 런던에서 출판되었고,
이어 《보스턴의 북쪽 North of Boston》(1914)이 출간됨으로써 시인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두 권의 시집 모두가 그 해안에 미국에서 재 출판되었다. 한 친구의 말에 의하면 이 무렵 Frost는 그의 아내에게 "내 책이 고향으로 갔으니 우리도 가야지"라고 말했다고 한다.
1915년 그들은 다시 Franconia 근처의 New Hampshire 농장에 정착했다.
이 곳은 장차『산골짜기』(Mountain Interval, 1916)라는 시집의 제목을 제시해 주게 된다.
1916년 그는 Harvard 대학교의 Phi Beta Kappa에서 「도끼자루」("The Ax-Helve")라는 시를 낭독했다.
Frost는 공개 낭송가로서 훌륭한 자질을 지니고 있었다.
몇 년 동안 낭송 여행을 함으로써 그와 그의 시는 가정의 소품이 되었고, 시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부추겼다.
1916년에는 Amherst 대학의 "주재 시인"(poet in residence)이 되었는데, 4년 동안 겨울마다 한동안씩 그 곳에서 지냈다.
다양한 시기에 그는 웨슬리언 대학, 미시건 대학, 다트머스 대학, 예일 대학, 하버드 대학 등에서 강사나 특별 연구원으로 봉직했다.
1920년 Bread Loaf 영어 학교(Vermont 주의 Middle burry대학)의 창설에 가담했고, 여러 해 여름 동안 그 곳에서 강의했다.
그는 인근의 Ripton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살았다.
1963년 수술을 받고 차도가 생기더니 다시 재발하여 신음한 후 잠 속에서 조용히 이 세상을 하직하였다.
Frost의 시는, 문학 작품이 대개 그렇듯이, 인생살이와 세상일에 관한 논의의 과정 및 그 결과인 어떤 잠정적 결말을 보여준다.
그는 어떤 결말(생의 이해)에 이르기 위해 대화체로 또는 독백체로 얘기를 진행시키면서 독자의 정서와 정신을 그 진행과 함께 고조시킨다.
Frost는 자신의 시작 관한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의 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하는데 대한 얘기일 뿐만 아니라, 시는 마땅히 이렇게 만들어져야 한다는 주장이기도 하며, 그의 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말이기도 하다.
…훌륭한 시는 기쁨에서 시작해서 지혜로 끝난다.
(a good poem "beings in delight and end in wisdom")
사랑이 그런 것과 마찬가지이다.
https://youtu.be/aKbceZzcPRg
'좋은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아침 (1) | 2022.08.21 |
---|---|
늙어서 아내에게 조심해야 할 것 (0) | 2022.08.20 |
없다 시리즈. (0) | 2022.08.20 |
내 속에 사랑의 마음을 심자 (0) | 2022.08.20 |
남은 세월이 얼마나 된다고/김수환 추기경 (0) | 2022.08.20 |